안녕하세요! 길동이 사촌형입니다 ;)
소비자이론은 미시경제학에 있어서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에요.
때문에 소비자이론 파트는 많이 세분화해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이번 내용도 저번 시간과 연결되니까 7-1장 못 보신 분들은 한 번 훑어보고 오시길 바랄게요!
https://philip35171.tistory.com/24
<길동이의 미시경제학> 7-1. 소비자의 최적선택 (예산선과 무차별곡선 / 효용극대화)
안녕하세요! 길동이 사촌형입니다 ;) 오랜만에 찾아뵈겠습니다! 길동이 사촌형은 사실 학업에 치이고 있답니다ㅠ 그래도 미시경제학을 소홀히 할 수는 없죠, 지난 시간에 이어서 오늘은 효용극
philip35171.tistory.com
7-1장에서 아주 가볍게 소득의 변화가 생길 시 예산선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설명드렸는데요,
오늘은 그 부분을 더 자세하게 살펴보는 시간입니다
1. 소득의 변화
1-1. 소득소비곡선
소득소비곡선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격이 변화하지 않을 때 소득이 늘어남에 따라 효용극대화점이 움직여 나가는 궤적"
효용극대화 점은 무차별곡선과 예산선이 접하게 되는 점이라고 말씀드린 바 있죠,
소득이 변화하면 그에 맞게 예산선이 움직이게 되는데
새로 생긴 예산선과 그 때 무차별곡선과의 접점을 쭉 이어나가면서 그려지는 궤적이 소득소비곡선인 것입니다.
백 번 말하는 것보다 한 번 보는 게 낫죠.
소득이 변화하면서 예산선은 평행이동하게 되고 그 때마다 무차별곡선과의 접점 E를 추적하여 연결한 선이 소득소비곡선(ICC)가 됩니다.
1-2. 엥겔곡선
엥겔곡선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각 소득수준에서 소비자가 특정한 상품을 얼마만큼 구입하게 될지를 보여주는 곡선"
지금까지 그래프들은 대부분 x축과 y축이 '상품'이었음을 알 수 있을 겁니다.
하지만 엥겔곡선에서는 다르죠.
y축을 소득으로 두고, 그 때 x재화(혹은 y재화)를 얼마나 구입하는지, 즉 상품의 수를 x축으로 설정합니다.
소득소비곡선만으로 소득수준 변화에 따라 특정 상품의 소비량이 어떻게 변할 지는 알 수 없죠.
이에 대한 인사이트를 제공해 주는 것이 엥겔곡선이랍니다.
그렇다면 소득소비곡선과 엥겔곡선이 왜 중요한 것일까요?
소득소비곡선과 엥겔곡선의 모양이 상품의 성격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상품의 성격이라 함은, 수요의 소득탄력성과 관련이 있는데요
정상재와 열등재, 정상재 중에서는 필수재와 사치재의 여부에 따라 소득소비곡선, 엥겔곡선의 모양이 달라집니다.
* 열등재: 수요의 소득탄력성이 0보다 작은 경우
* 정상재: 수요의 소득탄력성이 0보다 큰 경우(1보다 크면 사치재, 1보다 작으면 필수재)
2. 소득소비곡선, 엥겔곡선의 모양
위 경우는 필수재인 경우에 소득소비곡선과 엥겔곡선을 그린 것입니다.
엥겔곡선에서 x축 변수 표시를 못했는데, 다들 아실 거라 믿습니다🥲 (-> x재화 입니다)
사치재는 소득이 높아질수록 더 많이 구입하는 경향이 있으니,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구입량이 더 가파르게 증가하게 됨을 직관적으로 납득할 수 있습니다.
열등재의 경우는 소득이 늘어남에 따라 구입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위 그래프와 반대로 우하향하는 소득소비곡선과 엥겔곡선이 그려지게 됩니다.
그리고 앞서 소개한 두 경우를 보았을 때,
공통적으로 가운데 점선이 그려진 것을 볼 수 있죠.
사치재의 경우에는 점선 아래에, 정상재의 경우에는 점선 위에 소득소비곡선과 엥겔곡선이 그려집니다.
그런데 과연 수요의 소득탄력성이 정확히 1인 경우는 어떻게 될까요??
--> 소득소비곡선과 엥겔곡선은 정확히 그 점선의 모양을 띠게 됩니다.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상품의 구입량은 이전과 동일한 비율로 증가한다는 의미인데요,
이런 특징을 가진 선호체계를 동조적(homothetic)인 선호라고 합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다음 시간에 더 자세히 알아봅시다.
다음 시간에는 동조적인 선호에 대해 알아보면서 그 유명한 콥 더글라스 함수에 대해 공부할 것입니다!
여러분들 지루해하실까봐 일부러 짧게 끊었어요 😏
지금까지 길동이 사촌형이었습니다
슉슉
'길동이의 미시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동이의 미시경제학> 7-4. 소비자의 최적선택 (가격의 변화와 최적선택 - 가격소비곡선, 수요곡선) (16) | 2024.02.22 |
---|---|
<길동이의 미시경제학> 7-3. 소비자의 최적선택 (동차함수와 동조함수 / 콥 더글라스 함수) (15) | 2024.02.21 |
<길동이의 미시경제학> 7-1. 소비자의 최적선택 (예산선과 무차별곡선 / 효용극대화) (12) | 2024.02.20 |
<길동이의 미시경제학> 6-2. 한계대체율과 무차별곡선 (12) | 2024.02.14 |
<길동이의 미시경제학> 6-1. 효용함수와 무차별곡선 (23) | 2024.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