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길동이 사촌형입니다 ;)
7-2장에서 소득의 변화와 최적선택에 대해 학습했었죠.
오늘은 가격의 변화와 최적선택에 대해 공부해 봅시다.
가격소비곡선과 수요곡선의 도출 과정을 알아볼 것이구요,
다음 시간에는 소득의 변화와 가격의 변화를 종합하여 사례 분석을 통해 더 연습해 보는 걸로 합시다.
렛츠고
1. 가격소비곡선
가격소비곡선(price consumption curve)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다른 조건에는 변화가 없고 한 상품의 가격이 계속 변화할 때 소비자의 선택점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여주는 곡선"
x재화의 가격이 떨어진다면 예산선에서 x절편은 오른쪽으로 이동해 갈 것이고, 가격이 오른다면 반대로 움직이죠.
이에 따라서 당연히 효용극대화 점도 변하게 될 것입니다.
그 점들을 추적해 나가면 곡선이 하나 생성되는데,
그게 바로 가격소비곡선(PCC)입니다.
그림으로 보시죠,
가격이 변화함에 따라(이 경우에는 가격이 하락) 최적 선택점( = 효용극대화 점)이 E1 -> E2 -> E3로 변화해 가는 것을 알 수 있지요.
그 점들을 추적해 나가면 위와 같이 가격소비곡선이 등장합니다.
가격소비곡선은 왜 중요할까요?
소득소비곡선과 엥겔곡선에서 모양이 상품의 특징을 반영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가격소비곡선도 상품의 성격에 따라 모양이 달라집니다.
가격에 따라 구매량(수요량)이 달라지는 양상을 반영하는 것이니,
이와 연관되는 개념 하나 떠오르시지 않나요? ㅎㅎ
--->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가격소비곡선에 반영됩니다.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작다면, 즉 비탄력적이라면
가격이 변화해도 수요량의 변화는 그렇게 크지는 않겠지요.
그럴 때는 위와 같은 양상(앞선 그래프)을 보이는 것입니다.
만약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1보다 큰 경우라면 가격소비곡선은 우하향하게 됩니다.
가격이 떨어지는 정도보다도 더 가파르게 수요량이 증가한다고 이해하시면 되어요.
그림으로 살짝 보여드릴게요.
수요의 가격탄력성이 1보다 작을 때, 1보다 클 때를 모두 살펴봤는데,
정확히 1인 순간을 빼먹을 수 없죠.
이때는 가격소비곡선이 수평선의 형태를 보이게 됩니다.
x재화의 수요량이 변함에 따라 y재화의 수요량의 변화량은 0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교차탄력성이 0이라고 이해해도 되겠네요.
2. 수요곡선
이제 y축을 가격으로 바꿔볼까요,
가격소비곡선에서는 재화의 가격이 변화함에 따라 재화의 구입량이 어떻게 변화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내포했다면
이를 바탕으로 재화의 구입량과 재화의 가격을 두 축으로 하여 수요곡선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수요함수는 이렇게 표현합니다.
Py(y재화의 가격), M(소득)이 고정되어 있다고 가정했을 때 Px(x재화의 가격)이 변함에 따라 x재화의 수요량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추적하는 것이죠.
가격소비곡선으로부터 수요곡선을 그릴 수 있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다양한 경우에서 수요곡선을 도출하는 연습을 해봅시다.
그리고 다시 한번 리마인드 드리지만,
모든 학습 자료?는 이준구 교수님의 미시경제학(7th)을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길동이 사촌형이었습니다
슉슉
'길동이의 미시경제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길동이의 미시경제학> 7-5. 수요곡선의 도출 (연습문제) (18) | 2024.02.23 |
---|---|
<길동이의 미시경제학> 7-3. 소비자의 최적선택 (동차함수와 동조함수 / 콥 더글라스 함수) (15) | 2024.02.21 |
<길동이의 미시경제학> 7-2. 소비자의 최적선택 (소득의 변화와 최적선택 - 소득소비곡선, 엥겔곡선) (10) | 2024.02.20 |
<길동이의 미시경제학> 7-1. 소비자의 최적선택 (예산선과 무차별곡선 / 효용극대화) (11) | 2024.02.20 |
<길동이의 미시경제학> 6-2. 한계대체율과 무차별곡선 (10) | 2024.02.14 |